1. 선생님께서 항상 문제푸실때 pH change of buffer을 계산할때 ICF table을 사용하여 mole 단위로 계산을 하시는데 언제 ICE table을 사용하고 언제 ICF table을 사용하여야 할지 햇갈립니다. 그 부분 한번만 잡아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그런데 샘이 강의에서도 이야기했듯
pH of buffer 계산은 시험에 나오지만
pH change of buffer 계산은 거의 나오지 않아요 (예전 시험엔 나옴)
buffer pH 가 더 내려갈지 커질지 정도 알면 되고 정확하게 계산 하는건 사실 너무 어렵게 알지 않아도 됩니다
무튼 ICE, ICF letter 의 차이는 크게 중요한건 아니나
equilibrium 을 안하는 경우
즉 neutralization 은 reversible 하지 않으니까 ICF 로 풀고 moles 로 풀었고
그 외에 equiilibrium 을 해야 하는 모든 것들은 ICE - molarity 로 풀었어요
2. 여기 아래 file에서 선생님께서 mole계산한거로 conentration계산인 henderson hasselbalch equation에 대입하셨는데 mole value를 concentration value에 넣어도 괜찮은건가요?
원래는 concentration 이 맞는데요
같은 solution 안에 들어있는 mixture 라면
mole ratio 나 concentration ratio가 같아서
계산 상에 차이가 없어요
3. 좀 바보같은 질문이지만 WA + SB, WB + SA가 왜 2:1로 존재해야 buffer인건가요? pH=pKa가 존재해야 buffer이 가능한건가요?
buffer 는 weak acid + conjugate base 가 1:1로 있다 (1:1일 필요는 없지만 1:1이 좋다) 까지 아나요?
그렇다면 HH equation 에 넣어보면 pH = pKa 인걸 알거고요
역시 pH, pKa 가 같을 필요는 없어요 그러나 비슷해야 하고, 같은게 제일 좋은 거죠
그렇다면 weak acid + strong base 의 경우에 2:1은 그게 곧 Half equivalence point 랑 같은 의미인데요
왜2:1이냐...
아래 질문을 보면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거 같은데 ^^;;
HF + NaOH -> H2O + NaF
2mol 1mol
-1mol -1mol. +1mol
-----------------------------------
1mol. 0 mol. 1mol
이렇게 되어서
결국엔 weak acid + conjugate base 가 1:1인 상태가 되기 때문이죠
4. Equivalence point가 정확히 의미하는게 무엇인가요? half equivalence point가 [A] = [HA] 됨으로서 pH = pKa가 된다는건 알겠는데 equivalence point가 뭘 의미하는지 햇갈려요...
neutralized 된 순간이죠
equivalence point 를 모르는데 하프를 알 수가 없는데...
HCl 1M 100mL 를 가지고 1M NaOH 를 리액션 시킨다면
NaOH 100mL 가 필요하겠죠? <- 그때 neutralized 되기 위해 필요한 볼륨값이 equivalence point 입니다
strong acid strong base 이든 weak acid weak base 든 상관없이
neutralization 이 완료되는 포인트죠
half equivalence point 에서 버퍼가 생기는 건 항상이 아니고
weak acid 가 있는데 strong base 를 넣을때의 하프거나
weak base 가 있는데 strong acid 를 넣을 때의 하프
에서만 버퍼가 생깁니다
위에 질문에서 말한 것과 같은 내용입니다
5. FRQ 풀떄 한번씩 언제 double arrow 넣어야하고 single arrow 넣어야하는지 햇갈려요.. acid base neutralization, combustion, k value가 클때 이 3가지 경우만 one sided arrow를 넣으면 되나요?
single arrow = equilibrium 못할때
double arrow = equilibrium 할때
이고 학생이 말한 경우가 맞아요
그런데
single arrow, double arrow 를 제대로 못 썼다는 이유로 감점하지 않습니다
다 single 로 쓰든 다 double 로 쓰든
사실 frq 채점기준에는 상관없어요 ^^
6. FRQ 풀때 subsection에서 round한 value 말고 계산기에 나온 전체 value를 그대로 가져와서 계산하는게 맞을까요?
전체를 그대로 가져와서 계산하는게 좋지만
라운드한걸로 해도 됩니다
대신 계산 과정 중간에는 라운드를 너무 많이 하면
최종답에서 에러가 생기기 때문에
어느정도 digit 을 조금 더 캐리하다가 (원래대로라면 sig fig 보다 1-2개 digit을 더 캐리합니다)
마지막 answer 에서만 sig fig 을 신경쓰면 되기는 합니다
자세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