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AP Chemistry MCQ 풀이 및 개념 리뷰 질문
Kelda 선생님의 (Updated) All about AP Chemistry Practice Test_MCQ 강의 1
작성자 spi*** 등록일 2025-04-25 오전 12:16:48

안녕하세요 선생님! 


2014  MC Practice를 풀고 몇 가지 질문이 있어 문의 드려요 :) 


문제풀이: 

1. 17번 문제에서 (사진 첨부), strong base가 더 들어가면 그만큼 acid에 남아있던 H+ 이온이 반응하여 오히려 acid concentration이 떨어지지 않나요? nMV=nMV 풀이를 보면 이해가 되는데, 제가 처음 풀었을 때 어디에서 접근이 잘못 됐는지 궁금해요. 

2. 쌤 설명을 듣고 전에 풀었던 mock exam #41 (사진 첨부)를 다시 풀어봤는데, 이런 사고방식이 맞을까요? 


개념: 

1. Bond breaking 과 bond forming 기준이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CH4+2O2 -> CO2+2H2O는 CH4의 bond가 break 하는 동시에 CO2로 bond가 form 하지 않나요? ∆H 계산을 할 때 어떻게 하면 쉽게 풀 수 있을까요? 

2. Q=mc∆T 공식을 통해서 계산을 할 때, m 값은 reactant 중 하나의 값을 선택해서 쓰나요, 아니면 reactant 2개의 mass 를 모두 합친 값을 쓰나요? 예를 들어, 첨부한 46번 문제에서 KCl과 물의 질량을 모두 알아야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만약 이 문제가 FRQ 형태로 "Q를 계산하시오" 와 같은 형태로 나왔다면, 이때 대입해야되는 m값은 (mass of KCl + mass of H2O가 되나요? 





첨부파일 JPEGimage-4CB4-AF95-7B-0.jpeg
첨부파일 JPEGimage-4E0E-BD89-90-0.jpeg
2025-04-29 오후 12:34:42

안녕하세요 

17번 

학생이 말하는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base 가 더 들어갔는데 acid 가 왜 더 리액션을 할까요? 이미 neutralization 을 다했고 리액션할 acid 는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실제 conc 이 커졌냐 작아졌냐를 묻느게 아니에요, 

실수로 더 들어갔기 때문에 

calculated concentration 계산상의 값이 커졌냐 작아졌냐를 묻는 것입니다 

acid concentration 은 어차피 equivalence point 이후로 남아 있지 않습니다 

 

첨부된 두번째 사진 

equivalence point에는 프로덕만 있겠죠?

reactant weak acid, strong base 가 다 used up 되었으니까 conjugate base 만 남아 있어서 답은 B 입니다 

 

A- > HA 인건 맞는데 (HA 는 거의 zero인 상황) 

그 뒤에 로그를 왜 썼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의미없는 공식) 

 

equivalence point 에서는 pH vs pKa를 비교하지 않습니다 

HH 공식은 버퍼의 경우에만 쓰며 

equivalence point 에서는 버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pH 랑 pKa를 비교하는건 무의미합니다 

 

그리고 pH 가 7 보다 커지는 것은 conjugate base of weak acid 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Ka 와 절대 비교하면 안됩니다 

 

무튼 질문에 대답은 했지만 

제가 강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까지는 앞으로 대답하지 않겠습니다 죄송합니다 

 

 

 

개념: 

1. Bond breaking 과 bond forming 기준이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CH4+2O2 -> CO2+2H2O는 CH4의 bond가 break 하는 동시에 CO2로 bond가 form 하지 않나요? ∆H 계산을 할 때 어떻게 하면 쉽게 풀 수 있을까요? 

 

모든 chemical reaction은 본드 브레이킹과 본드 포밍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준은 딱히 없는데 무슨 말인지 질문이 잘... 

reactant 의 본드는 끊어집니다 

product 의 본드는 생깁니다 

 

따라서 C-H 본드도 끊어지고 

O=O 도 끊어지고 

C=O도 생기고 H-O도 생기겠지요? 

 

CH4만 끊어지고 CO2 만 생기는게 아니라 

모든 리액턴트가 끊어지며 모든 프로덕트의 본드가 생깁니다 

 

-> 여기서 델타 H를 어떻게 잘 계산하냐는 질문도 잘 이해가 안가는데 

본드에너지로만 푸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주어진게 본드 에너지면 본드에너지로 풀 것이고 

heat of formation 을 주면 그것으로 풀 것이고 

Hess law 인지 

calorimetric calculation 인지에 따라 다 다른데 

그 네가지를 샘이 여기 지면에 설명하는건 무리이고 

문제에서 주어진 것에 따라 계산법은 달라질 것입니다 

 

본드에너지로 풀고 싶다고 해서 본드에너지를 이용해서 풀 수 없는 것이지요 문제에 주어진 값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질문을 구체적으로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2. Q=mc∆T 공식을 통해서 계산을 할 때, m 값은 reactant 중 하나의 값을 선택해서 쓰나요, 아니면 reactant 2개의 mass 를 모두 합친 값을 쓰나요? 예를 들어, 첨부한 46번 문제에서 KCl과 물의 질량을 모두 알아야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만약 이 문제가 FRQ 형태로 "Q를 계산하시오" 와 같은 형태로 나왔다면, 이때 대입해야되는 m값은 (mass of KCl + mass of H2O가 되나요? 

 

매쓰 두개를 합칠때도 그렇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문제 상황마다 다릅니다 

이 문제는 enthalpy of solution 이므로 

solution 의 enthalpy change 입니다 

그러므로 매쓰도 솔루션의 매쓰 전체가 되어야 합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