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Sunny Kim] trade protection subsidy
4.2 types of trade protection_5 10
Author jud*** Date Posted 2025-04-03 오후 6:11:33

안녕하세요 선생님, ib global economy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trade protection 중 subsidy 관련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드려요.

production subsidy를 producer한테 줘서 domestic production을 증가하고 imported goods의 quantity를 낮추면,

total 생산량을 줄지 않지만 consumer들이 살 수 있는 'efficient'한 goods (imported goods)의 quantity가 줄어들어서 worse off 할 수 있지 않나요??

imported goods가 아닌 domestic, inefficient한 goods를 사게 되면, 더 낮은 quality의 goods를 사게 되니까 안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리고 CS와 PS를 계산할 때 겹치는 부분이 어떻게 생길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하나하나 따로 보면 이해가 가는데, 전체적으로 봤을 때 같은 area가 두번 카운트 되는게 어떻게 가능한지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ㅠ 

2025-04-07 오후 12:22:15

안녕하세요 선생님, ib global economy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trade protection 중 subsidy 관련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드려요.

production subsidy를 producer한테 줘서 domestic production을 증가하고 imported goods의 quantity를 낮추면,

total 생산량을 줄지 않지만 consumer들이 살 수 있는 'efficient'한 goods (imported goods)의 quantity가 줄어들어서 worse off 할 수 있지 않나요??

imported goods가 아닌 domestic, inefficient한 goods를 사게 되면, 더 낮은 quality의 goods를 사게 되니까 안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리고 CS와 PS를 계산할 때 겹치는 부분이 어떻게 생길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하나하나 따로 보면 이해가 가는데, 전체적으로 봤을 때 같은 area가 두번 카운트 되는게 어떻게 가능한지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ㅠ 

 

--> 안녕하세요! 학생분~~ 현실적으로보면 학생분의 생각 make sense합니다^^하지만 여기서는 같은 quality를 갖은 물건을 만든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같은 물건을 만들때 비용을 낮게 해준다는 것이니, consumer들에게는 영향이 없는 것입니다.  CS는 변함이 없는데, 즉, 소비자들은 기존과 다른 것이 없는데, producer들만 더 좋아진 것이지요? 그것을 CS랑 PS가 겹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물론 강의에서는 제가 letter로 명확하게 보여드렸지요? 근데  정부의 손해가 있으니 다시 eliminate은 되는 부분이 있지요. 

 

학생분!! 강의 다시 한번 돌려봐주세요!!

아시겠지요?

화이팅하세요!

 

Sunny~

 

 

Top